RNA 치료제의 대확장 : 에이비엘바이오, 에스티팜, 알지노믹스

RNA 치료제. “Central Dogma를 역행하라!” 생명 현상의 중심 원리에 도전하는 RNA 치료제가 제약·바이오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과거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던 치료 방식에서 벗어나, 이제는 RNA를 조절하고 DNA를 편집하는 근본 치료의 시대가 열렸습니다.

🔍 핵심 요약: RNA 치료제 산업의 현재와 미래

  • 치료 패러다임 전환: 단백질 억제 → 표적 단백질 분해(TPD) → RNA 조절 → DNA 편집
  • RNA 치료제 폭발 성장: LNP, GalNAc 등 전달체 기술 발전이 희귀 질환 치료 성공 이끌어
  • 다음 도전과제: ‘간 외(Extrahepatic)’ 조직으로의 전달 기술 확보
  • 차세대 모달리티: RNA 교정, 원형 RNA(circRNA) 등 새로운 기술 부상
  • 생산 인프라 중요성: 복잡한 RNA 의약품 생산을 위한 CDMO 수요 급증

📈 산업 동향: Central Dogma를 역행하는 치료 혁명

1.1 치료 패러다임의 대전환

생명 정보의 흐름인 ‘Central Dogma’를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 최신 신약 개발의 트렌드입니다. 증상 완화를 위한 단백질 억제에서 벗어나, 이제는 질병의 근본 원인에 직접 접근하는 치료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1.2 TPD의 양분된 기대감

🟡 Arvinas: HR 양성 유방암 임상 3상에서 ‘반쪽 성공’으로 관심 위축
🟢 Kymera: 면역 질환 대상 임상 1상에서 Dupixent 대비 유사한 바이오마커 결과 도출

TPD 분야의 관심이 고형암 → 면역 질환으로 이동하는 추세입니다.

1.3 RNAissance 시대의 도래

RNA 치료제는 이제 희귀 질환을 넘어 대사 질환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주요 확장 영역차세대 타겟 영역
고지혈증비만
고혈압MASH
심혈관 질환

📊 RNA 치료제 파이프라인 현황 (임상 단계별)

RNA 치료제
임상 단계파이프라인 수
Phase 1245개
Phase 2101개
Phase 378개

🚀 RNA 확장의 열쇠: 전달 기술 혁신

2.1 ‘간 외(Extrahepatic)’ 전달의 중요성

현재 승인된 RNA 치료제의 대부분은 간으로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간 외 조직으로의 전달이 RNA 치료제 시장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한 핵심 과제입니다.

🎯 주목받는 차세대 전달 기술:

  • AOC (항체-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접합체): 특정 세포만 찾아가는 유도 미사일처럼, 항체를 이용해 RNA 약물을 뇌나 근육 세포에 정밀 타격하는 기술입니다.
  • POC (펩타이드-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접합체): 항체 대신 작은 단백질 조각(펩타이드)을 이용해 약물을 전달합니다.
  • AAV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 유전자 치료제에 널리 쓰이는 바이러스를 ‘배송 트럭’으로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2.2 주요 전달체 타겟: TfR과 IGF1R

TfR(Transferrin Receptor):

  • 뇌혈관장벽(BBB) 셔틀 및 근육세포 전달에 활용
  • Novartis, Avidity 인수(120억 달러)로 기술 가치 입증

IGF1R(Insulin-like Growth Factor 1 Receptor):

  • 뇌, 골격근, 간, 지방세포 등 다양한 조직에 분포
  • 에이비엘바이오의 ‘Grabody-B’ 플랫폼이 이 수용체 타겟

📋 주요 유전자 치료제 전달체 관련 거래 내역

LicenseeLicensor타겟규모계약 시기
NovartisAvidityTfR$12.00B25.10.27
GSK에이비엘바이오IGF1R$2.73B25.04.05
ArrowheadSareptaTfR$11.38B24.11.24
AbbVieAliadaTfR x CD98$1.40B24.10.28
RocheShape TX$3.00B21.08.24

🔬 차세대 RNA 모달리티와 생산 수요

3.1 ASO/siRNA를 넘어선 새로운 기술

RNA 교정 (RNA Editing):

  • DNA 편집과 달리 RNA 단계에서 염기서열 수정 → 가역적, 부작용 위험 낮음
  • 단일 교정: ADAR 효소 이용 (Wave Life, Korro Bio, ProQR)
  • 멀티 교정: 리보자임 활용 (알지노믹스, Ascidian)

원형 RNA (circRNA):

  • 선형 mRNA 대비 안정성 향상
  • 더 오래, 더 많은 단백질 발현 가능
  • Merck, BMS 등 빅파마, circRNA 기술 기업과 대규모 계약 체결

3.2 CDMO 수요 증가

RNA 치료제 시장 성장과 모달리티 다각화는 고품질 원료의약품 공급을 위한 CDMO 수요를 급증시키고 있습니다:

  • ✅ 기술 고도화: 복잡한 생산 공정 요구
  • ✅ 생산 역량: 임상 시료부터 상업 생산까지 대응 필요
  • ✅ 수요 증가: 희귀 질환 → 만성·대사 질환으로 확대되며 생산 수요 기하급수적 증가

🏢 주요 기업 분석: 한국의 숨은 보석들

4.1 🎯 에이비엘바이오 (298380): RNA 전달 플랫폼의 진화

핵심 투자 포인트:

  • ✅ 플랫폼 안전성 검증: ABL301 파킨슨병 임상 1상에서 우수한 안전성 입증
  • ✅ ‘간 외’ 전달 플랫폼 잠재력: IGF1R 타겟으로 뇌, 근육, 간, 지방세포 전달 가능
  • ✅ 높은 기술이전 가능성: GSK와의 대규모 기술이전 계약 체결

가치 평가: 적정주가 120,000원

4.2 🏭 에스티팜 (237690): RNA 치료제 생산의 핵심 플레이어

핵심 투자 포인트:

  • ✅ 폭발하는 생산 니즈: RNA 치료제 시장 확대로 원료의약품 생산 수요 급증
  • ✅ 독보적인 생산 기술력: 제2 올리고동 가동으로 생산 능력 2배 이상 확대
  • ✅ 매출 성장성: Novartis ‘Leqvio’ 등 수주 품목의 적응증 확대로 매출 증대

가치 평가: 적정주가 140,000원

4.3 🧪 알지노믹스 (비상장): RNA 2.0 시대의 선도자

핵심 기술 및 경쟁력:

  • ✅ 차세대 RNA 교정 플랫폼: 글로벌 유일 리보자임 기반 ‘RNA 멀티 교정’ 플랫폼 보유
  • ✅ 글로벌 빅파마 인정: Eli Lilly와 최대 13억 달러 규모 공동 개발 계약 체결
  • ✅ 가장 앞선 임상 단계: RZ-001 임상 1b/2a상 진행 중
  • ✅ circRNA 생산 기술: 독자적인 원형 RNA 생산 기술 보유

주요 동향: IPO 예정, 2026년 RZ-001 임상 결과 발표 예상


💡 결론: RNA 치료제의 미래 전망

RNA 치료제 시장은 전달 기술의 혁신과 차세대 모달리티의 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며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 향후 주목할 트렌드:

  1. 간 외 전달 기술의 상용화가 본격화될 것
  2. RNA 교정, circRNA 등 차세대 모달리티가 임상 현실이 될 것
  3. 검증된 CDMO의 전략적 가치가 더욱 부각될 것

한국 기업들도 이 글로벌 트렌드에서 주목할 만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차세대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RNA 치료제는 이제 제약·바이오 산업의 미래를 바꾸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이 포스팅은 투자 권유나 의학적 조언을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Leave a Comment